스프링은 일단 너무 길다.
dependency도 너무 길다.
스프링부트는?
짧다.
버전관리도 권장 버전으로 자동 설정해주고
알아서 의존성이 높은 것으로 써준다.
application.properties
보다 Application.yml 를 사용한다.
-> 인간이 더 쓰기 편하게 한다.
Thymeleaf
스프링부트에서는 한줄이면 끝난다. -> 엄청난 차이
[서버구동시간]
서버 구동 시간이 절반 가까이 단축된다(tomcat)
내장서버가 있기 때문에 단축된다.
tomcat이 싫다면 간단하게 jetty로도 사용 가능
내장 서블릿 컨테이너 덕분에 jar 파일로 간단 배포
Java -jar $REPOSITORY/$…
Spring boot 정리
- 간편한 설정
- 편리한 의존성 관리 & 자동 권장 버전 관리
- 내장 서버로 인한 간단한 배포 서버 구축
- 스프링 security, data jpa 등의 다른 스프링 프레임워크 요소를 쉽게 사용
개발자들이 개발에만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출처 : 우아한Tech 유튜브
+ 변경사항이 있을 때, 자동으로 재시작 해준다.
+ spring web : 기본적으로 apache tomcat 내장
'개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L과 SSH의 차이 (0) | 2024.05.23 |
---|---|
각 IT기업 기술 블로그 주소 정리 (1) | 2023.08.25 |
my_init (3) | 2022.03.25 |
머신러닝 유용한 팁들 (0) | 2022.03.25 |
확률경사하강법 (0) | 2022.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