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이기적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책으로 공부했다.
-1과목 빅데이터 분석기획
1과목은 암기과목이기 때문에 예제문제를 먼저 풀어보고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책을 보면서 다시 문제를 풀어보는 방식으로 이해했다.
1과목 부분 1회독이 끝나고 학원갈 때 지하철에서 왔다갔다 하는 시간에 틈틈히 영상 보면서 1과목은 정리했다! (빅공남 유튜브)
영상 하나에 7~10분이라서 가볍게 볼 만 했다.
기억나는 기출은 데이터3법에 대해서 나왔었는데 어딜가나 데이터3법은 많이 나오기 때문에.. 쉽게 풀 수 있었던 것 같다.
+가명정보 문제
2과목 빅데이터 탐색
어느 통계시험이든 나오는 중앙값과 평균 문제
왜도랑 첨도 문제(파레토 그래프와 비교해서 1분위수와 3분위수, 중앙값 비교하는 문제)는 진짜 1,2,3,100 과 1,98,99,100 이런식으로 수를 대입하면서.. 어떻게든 맞추려고 ㅠㅠ 애썼던거 같다. (시험시간 1시간 반정도는 푼거같다.)
표준정규분포표 보는 문제도 나왔었고.. 진짜 오랜만에 보는거라 아찔했다. (학교 수업 때 매일봤는데 이렇게 기억이 안 날 수가 있나)
당연히 가설검정 문제도 나왔다.
기초통계 문제정도? 수준이었다.
1/(n+1) * (분위수/100) -> 이 분위수 공식을 활용하는 문제도 시험에 나왔다.
3~4과목 공부는 사실 시간이 없어서 따로 하지 못했는데 평소에 머신러닝,딥러닝 책 코드 1회독을 한 상태여서 머신러닝 개념 부분에 대해 대강 이해한 상태로 시험봤었다. 어떤 모델이 지도학습인지.. 이런 문제가 여럿 나왔던것 같고 시공간벡터 문제, 시계열 분석의 주요 4요소(불규칙, 계절, 추세, 순환) 문제 등등이 나왔다. 활성화 함수, depth 관련한 문제도 나왔었던거 같은데.. 긴가민가
전공자라면 (1과목)유튜브 영상+책 1회독 + (2과목)기초 통계수준 복습 + (3,4과목)머신러닝, 딥러닝 책 1회독인 상태라면
모의고사 cbt 1~2회정도 풀어보고 (영진닷컴에서 해설과 같이 제공한다! 개인적으로 추천bb) 틀린 부분 개념만 알아가면 무리없이 6~70점대 맞을 수 있을 것 같다. 코드 관련해서는 잘 나오지 않았다.
-공부기간
1. 일주일동안 매일 지하철에서 왔다갔다 하는 시간 10~20분(1과목 빅공남 유튜브 완강)
2. 책 1과목 부분 1회독(문풀)
3. 모의고사 1회분 + 정답 오답 모두 리뷰
4. 머신러닝, 딥러닝 관련 책 1회독
+가장 기억에 남는 마지막까지 헷갈렸던 문제가 문자 단위로 잘라서 유사도를 구하는 모델을 고르는 문제였는데
나이브 베이즈와 n-gram중에 엄청 고민했다.
이유는 최근에 본 나이브스아웃이라는 영화에서 나이브가 칼이라는 개념이 자꾸 생각났기 때문에(지금 생각하면 너무 어이없다. 왜 베이즈를 생각을 못했지).. ㅠㅠ
하지만 무조건 머신러닝 모델링은 n-, k-로 들어가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역시 k-의 민족) n-gram으로 골랐고 정답이었다! 정말 못 잊을것 같다..
-나이브 베이즈 분류
나이브 베이즈 분류는 베이즈 정리에 기반한 통계적 분류 기법이다.
가장 단순한 지도 학습 (supervised learning) 중 하나.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는 빠르고, 정확하며, 믿을만한 알고리즘.
정확성도 높고 대용량 데이터에 대해 속도도 빠르다
'빅데이터분석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공자의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 공부법 (0) | 2022.06.12 |
---|
댓글